본문 바로가기
한국_상장회사

손익구조 변경공시 와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 등 사유발생 공시의 차이점과 작성시 주의 사항

by With주신 2025. 3. 12.
반응형

매년 12월 31일을 결산 기준일로 하는 회사들은 익년 3월 말까지 감사보고서제출, 주주총회소집공고 및 개최, 손익구조변동공시 등 해야 할 일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손익구조 변경에 해당될 경우 반드시 해야 할 공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재무제표의 결산이사회는 상법상 주주총회 6주간전, 또는 코스닥공시규정상 주주총회 소집공공 이전까지 할 수 있습니다.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 15%) 이상변동공시

코스닥 공시규정 제6조제1항2호마목3의 규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전년 대비 매출액, 영업손익, 당기순손익이 당기에 100분의 30 이상의 증가 또는 감소가 있는 경우에 하는 공시입니다. 

이는 회계감사 전 또는 회계감사가 종료되어 감사보고서가 발행되기 전에 회사 내부적으로 재무제표 승인의 건을 이사회의 안건으로 상정하여 처리하게 되어 있는데 이때 이사회에서 재무제표 승인의 건이 가결되는 날 당일공시 사항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실무적으로 주의를 요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대규모법인이라 함은 최근 사업연도말 자산총액이 2조 원 이상인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을 의미합니다. 

 

실무상 확인사항

보통 회계감사 및 감사보고서 발행 일정이 촉박하기 때문에 주주총회소집공고 즉, 주주총회 개최 2주간 전에는 회사 내부적으로 재무제표 승인의 건을 이사회에서 결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주주총회 소집공고일자에 재무제표 승인 이사회가 같은 날 진행될 경우 손익구조변경공시가 먼저 진행되어야 합니다.  다만, 실무상 손익구조변경공시는 한국거래소 제출 공시이기 때문에 접수시간이 주총소집공고 제출시간 보다 앞서면 실무상 문제가 없는 점에 유의 바랍니다. 

가급적 미리미리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공시 제출에 임하면 되겠습니다. 

 

실제 공시 작성 사례

실제 코스닥 상장사의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변동공시입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상장회사의 경우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경우 주 재무제표는 연결이 우선이기 때문에 재무제표의 종류를 확인하고 각 계정의 금액을 입력구 증감비율을 기재합니다. 

 

★ 중요한 점은 상기 숫자는 전기 감사보고서 상의 재무숫자를 기재해야 하고 전기 재무제표가 재작성할 상황에서 아직 감사보고서 발행이 되지 않았다고 하여 변경이 예상될 재무숫자를 기재해서는 안됩니다.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 지정 등의 사유발행 공시

결산 이사회가 개최되어 손익구조에 변경이 있거나 관리종목등의 지정사유가 발생된 경우에는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 지정 등의 사유발생공시만을 진행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후자의 공시 사항이 상장회사의 주권거래정지사유에 해당될 수 있는 중대한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내부결산 시점에서 손익구조 변경공시를 진행완료 하였다가 수정사항이 발생될 경우 그 수정사항이 '내부결산 시점 관리종목지정, 형식적 상장폐지, 상장적격성실질심사 사유발생 공시'에 해당이 될 경우 별도로 추가 공시를 진행함

 

자본잠식률과 계속사업 손실률의 경우 연결재무제표 작성의무가 있는 회사의 경우 연결재무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해야 합니다. 

내부결산 이사회 결의 재무숫자를 공시한 이후 근거가 없는 과도한 수치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 불성실 공시법인 지정여부가 검토됩니다. 

오늘은 결산 시점에서 공시가 되어야 하는 손익구조 변경공시와 내부결산시점의 관리종목 지정사유 등의 발생 공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투자와 실무에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